지난번에는 kubeadm으로 직접 구성하는 방식을 진행해보았다면 이번에는 Kubespray를 사용하여 진행해보기로 했다. 기본적으로 클러스터 구성은 최소 3개이지만, 단순 실습만을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했다. control-plane 1개worker-node 2개 실습 환경은 Ubuntu 24.04를 이용하였다.18.04나 20.04와 같은 LTS 버전도 있지만 18.04는 너무 오래되어서 현재 python3만을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달리 2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버전에서 구성하는 방법이 다를 것 같아서 넘어갔다. 20.04나 22.04를 사용해도 되지만 기왕 처음부터 하는 거 나중 되면 결국 24.04를 사용할 때가 올 것이기 때문에 미리 최신버전에서 사용법을 익히고자 이걸로 선택했다. 단순 ..
전에 유데미에서 도커와 쿠버네티스 강의를 구매해서 수강하다가 뭔가 잘 와닿는게 없어서 그냥저냥 듣다가 유튜브에서 무료로 강의를 올려주시는 분이 있어서 조금 들어봤는데 강의가 상당히 좋은 것 같아서 직접 실습하면서 공부해보았다. 자동 완성 팁 kubectl get nodes를 타이핑할 때 자동완성이 안 된다. source >~/.bashrcsource >~/.bashrc 위와 같이 작성해주면 자동완성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명령어 실습 kubectl get pods pod 목록을 조회하는 명령어이다. kubectl get pods -o wide pod 목록을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다.해당 pod가 실행되고 있는 IP나 호스트명을 확인할 수 있다. kubectl create deployment -..
이번에 쿠버네티스를 테스트할 환경을 VMware를 사용해서 구축하기로 했다. 여러 창을 계속 왔다갔다하기 힘드니 XShell도 설치해서 원격 접속 및 창을 보기 좋게 배열해보았다. 우분투 iso 다운로드 및 설치 https://ubuntu.com/download/server/thank-you?version=24.04&architecture=amd64<s=true Thank you for downloading Ubuntu Server | UbuntuUbuntu is an open source software operating system that runs from the desktop, to the cloud, to all your internet connected things.ubuntu.com 위 ..
kubernates를 사용하는 이유 가상머신 vs 컨테이너 가상머신은 하이퍼바이저 위에 게스트OS를 포함하여 앱을 실행하는 형태 컨테이너는 호스트OS에서 컨테이너 소프트웨어를 통해 앱을 컨테이너 내에 담아 실행하는 형태 요즘 같이 이벤트 등의 이유로 트래픽이 순식간에 몰리거나 할 때 스케일업 보다는 스케일 아웃을 통해 인스턴스를 늘리고 줄이고 한다. 그런데 가상머신은 게스트OS 등 앱 자체와는 상관 없는 환경 구성이 필요하므로 앱을 여러 개 구성할 때 컨테이너 방식보다 자원의 낭비가 생긴다. 그러나 컨테이너 방식을 사용한다고 해도 마냥 장점만 있는 것이 아닌게, 가상머신 방식과 달리 컨테이너 방식은 호스트OS에 문제가 생겨 멈추게 되면 모든 컨테이너가 멈추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자칫하면 모든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