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2진수의 표현 방법 컴퓨터에서 2진수를 표현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정수 표현 방법 정수의 표현 방식으로는 부호 절댓값, 1의 보수, 2의 보수가 있는데 간단히 살펴보자면 부호와 절댓값은 최상위 1비트만 부호 비트로 사용하고 나머지 비트들로 값을 표현한다. 1의 보수는 부호비트를 사용하지 않고 음수를 표현할 때 비트를 모두 1로 만든 2진수 값에서 해당 양수의 값을 빼서 구한다. 즉, 0인 비트를 1로, 1인 비트를 0으로 바꾸면 된다. 2의 보수는 1의 보수의 값에 1을 더해주면 된다. 부호와 절대값과 1의 보수 표현법은 +0과 -0이 동시에 존재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하지만 2의 보수는 -0은 존재하지 않고 바로 0이 아닌 음수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필요 ..
프로그램 (Program)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정적인 소프트웨어 프로세서 (Processor) 명령을 처리하는 하드웨어이다. 예) CPU, MPU, MCU, AP 프로세스 (Process)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로 불러와 주기적으로 CPU에 의해 처리되는 소프트웨어이다. 프로그램이 프로세스가 되었다는 것은 프로세스 제어 블록(PCB)을 얻었다는 의미이다. 프로세스의 종료 시에는 해당 프로세스에 할당되었던 PCB가 제거된다. 프로세스 제어 블록(Process Control Block) 운영체제가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료구조이다. 대부분의 운영체제에서 구조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러 구조체를 참조하여 사용한다. PCB의 구성은 운영체제마다 상이하다...
·공부/Java
코드를 작성하고 컴파일 후 실행해 보면 특정 부분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컴파일하기 전에는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실행 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를 런타임 에러라고 하며, 이 오류로 인한 프로그램 강제 종료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해당 오류에 대한 대처 방안을 미리 대비해 놓아야 한다. 에러의 종류 에러는 크게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컴파일 에러 컴파일하는 시점에 발생하는 에러 런타임 에러 실행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에러 논리적 에러 실행은 문제없지만, 의도와 다르게 동작하는 것 컴파일 에러 - 오타, 잘못된 구문, 자료형 체크 등의 검사를 수행하면서 문법적으로 오류가 있는 부분을 검출한다. 런타임 에러 - 실행 시에 발생하는 객체 할당 부재, 배열 크기 초과, 스택 오버플로우 등의 오류..
·공부/Java
이번주는 컬렉션 프레임워크에 대해 공부했다. 주로 자바의 정석 책과 동영상으로 공부했는데 사실 컬렉션 프레임워크는 중반 이후에 나온다. 앞의 부분을 건너뛴 이유는 어느정도 알고 있기도 하고 (더 공부해야 하지만..ㅎㅎ) 무엇보다 코딩테스트 문제를 풀 때 해당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풀기가 힘들다. 그래서 일단 이번주는 컬렉션 프레임워크에 대해서 공부했다. 컬렉션이란? 다수의 요소를 그룹으로 묶어 구성한 것 프레임워크란? 어떤 문제를 쉽고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표준화된 방식 컬렉션 프레임워크 (Collections Framework)란? 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등의 목적을 표준화하여 처리하는 프레임워크 List, Set, Map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인터페이스이다.List와 Set은 C..
megamaker
'공부' 카테고리의 글 목록 (28 Page)